장치소개
DPF의 배출가스 저감 원리

- 자동차배출가스 중 입자상물질(PM)을 필터로 여과하고 이를 엔진의 배출가스 열 또는 전기히터 등을 이용하여 연소시키는 원리
- 필터의 촉매는 배출가스 중 가스상의 유해물질인 일산화탄소(CO) 및 탄화수소(HC)를 저감
- 입자상물질을 연소에 필요한 열 공급 방식에 따라 장치 구별
종류 | 열공급 방식 | 적용가능 차량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연속(자연)재생 방식 | 엔진 배기열 | 고속주행 자동차 | |
강제재생 방식 | 전기히터 또는 보조연료 분사 | 저속주행 자동차 | |
복합재생 방식 | 연속재생 방식과 강재재생 방식의 혼용 |

DPF의 배출가스 저감 성능
- 입자상물질(PM)의 약 80% 이상 저감
- 일산화탄소(CO), 탄화수소(HC)의 약 70% 이상 저감
- 질소산화물(NOX)은 촉매의 기술적 한계로 저감량이 매우 미미함
DPF의 부착 대상 및 방법
- 자연재생 방식 : 차량의 운전 조건에 따른 배기가스 열이 충분한 차량에 부착 가능
- 주로 열표면적이 넓어 PM 재생조건이 좋은 대형경유차에 부착
- 장치마다 요구되는 온도조건은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배기가스 온도 300℃ 이상
- 복합재생방식 : 배기가스 온도가 낮은 저속차량을 포함한 대부분의 차량에 부착 가능

- 부착 위치 : 자동차 배기 머플러 부분에 DPF 부착
배출가스 저감원리
- 기존 1종 DPF 장치와 같이 전단부와 필터부의 촉매층에 의해 변환된 NO2를 이용하여 필터부의 금속섬유층에 포집된 PM과 산화반응을 하여 매연저감
- ※ DPF와는 달리 배기가스의 유로를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 하나의 격자가 입구와 출구가 엇갈리게 연결 되어 차량 급가속시 포집된 매연이 일시에 배출되어 가시매연이 발생 될 수 있음

배출가스 저감 성능
- 차량에서 배출되는 입자상물질(PM)을 50%이상 저감
- CO 80%이상, HC 70%이상 및 NOx 0~5% 저감

p-DPF의 부착 대상 및 방법
- 배기가스 열이 충분한 차량에 부착 가능하나, 학원버스, 마을버스, 청소차 등 저속주행 차량에 대해서는 적용 불가
- 부착 위치 : 자동차 배기 머플러 부분에 p-DPF 부착

DOC의 배출가스 저감 원리
- 자동차의 배출가스가 촉매를 통과하면서 활발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넓은 표면적을 가진 구조
- 가스상 물질인 CO 및 HC는 저감하나, 입자상물질 등의 강제 여과 기능은 없음
- 배출가스와 촉매가 접촉시 화학반응을 일으켜, 입자상물질(PM)의 한 성분인 “용해성유기물질
(SOF : Soluble Organic Fraction)”을 화학적으로 연소

DOC의 배출가스 저감 성능
- PM 중 일부만 산화되며, 나머지 PM은 배출
- 가시(可視)매연의 저감효과는 상대적으로 적어, 매연 배출이 보일 수 있음
- 일산화탄소(CO), 탄화수소(HC) 등 가스상 물질은 약 70% 이상 저감
- 질소산화물(NOX)은 촉매의 기술적 한계로 저감량이 매우 미미함
DOC의 부착 대상 및 방법
- 부착대상 : 매연여과장치(DPF)를 부착할 수 없는 소형경유차(차량 총중량 3.5톤 이하)에 주로 부착
- 아래그림과 같이 배기관과 같이 공급되는 DOC를 엔진과 배기 머플러 사이에 교체 부착


'매연저감장치란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매연저감장치 종류 (1종,2종,3종) (0) | 2012.09.04 |
---|---|
매연저감원리 (0) | 2011.09.06 |
배출가스저감사업 참여시 인센티브 (0) | 2011.08.16 |
특정경유 자동차란 (0) | 2011.08.16 |